환경 설정
커맨드헬퍼를 사용할 때, 필수는 아니지만 할 경우 앞으로 도움이 될 것들을 이곳에서 다룹니다.
이 가이드를 처음부터 끝까지 따라하시면, 좀 더 편하게 커맨드헬퍼 사용을 시작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.
Notepad++ 용 Syntax Highlighter 와 Auto Complete Templete
윈도우용 Notepad++(이 곳 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.) 를 사용하면 커맨드헬퍼의 에디팅을 좀 더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.
AutoCompleteGenerator 다운로드 받기
이곳 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압축을 푼 뒤, run_ko.bat
파일을 실행하고 명령 프롬포트를 따라하시면 두개의 파일(methodscript.xml 과 ch.xml) 이 생성됩니다.
Syntax Highlighter 적용
Notepad++ 에서 위쪽 바에 있는 언어>언어 정의...
를 클릭하고 가져오기
를 클릭합니다.
이후 뜨는 파일 선택 창에서 이전 단계에서 생성된 ch.xml
을 선택한 다음 확인을 누르고, import sucessful
이라는 메시지가 뜨면 Notepad++ 을 재시작합니다.
Auto Complete Templete 적용
생성된 methodscript.xml 파일을 (Notepad++ 설치 경로)\plugins\APIs
(기본적으로 C:\Program Files (x86)\Notepad++\plugins\APIs
) 에 붙여넣고 Notepad++ 을 재시작합니다.
적용된 파일 사용
이제부터 Notepad++ 에서 .ms
혹은 .msa
파일을 열면 자동으로 코드에 색상이 적용되고 코드를 입력할 시 자동완성이 표시됩니다.
한글 사용을 위한 인코딩 설정
커맨드헬퍼의 파일 인코딩은 불완전하기 때문에, 한글을 사용하려면 인코딩을 미리 설정해주어야 합니다.(3.3.3 이상이나 팀 스테이크 레포에서 받은 커헬의 경우 모든 파일 UTF-8 (BOM 없음)
을 사용하시면 됩니다)
aliases.msa
, main.ms
이 두 파일은 Notepad++ 기준으로 ASCII
인코딩으로 변환을 누르시고 한글을 작성하셔야 하며,
auto_include.ms
등등의 include()
펑션을 통해 가져와지는 .ms
파일들은 UTF-8 (BOM 없음)
인코딩으로 한글을 작성하셔야 합니다.